메종 드 히미코 (メゾン·ド·ヒミコ: Mezon Do Himiko, 2005)
평범한 대학생 츠네오와 다리가 불편한 소녀 조제의 가슴 시린 사랑 이야기를 그렸던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을 만들었던 이누도 잇신 감독과 와타나베 아야 각본의 2005년도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에선 장애인의 사랑을 그렸다면 이번 영화에선 게이의 사랑을 그렸다. 아, 물론 게이만 있는건 아니고. 핫튼 전작과 마찬가지로 흔히 사회에서 비주류라고 불리우는 사람들의 이야기.
여주인공인 사오리에겐 어릴 적 어머니와 자신을 버리고 게이바를 운영하던 게이인 아버지가 있다. 그 아버지는 게이바를 정리하고 한적한 바닷가에 '메종 드 히미코'라는 실버 게이타운을 운영하며 살고 있었다. 어느날 아버지의 연인이라고 하는 젊은 남자가 찾아와 그곳의 일을 도와달라고 부탁한다.
실버 게이타운이라고 했듯이 '메종 드 히미코'에는 늙은 게이 할아버지(?)들이 생활하는 곳이다. 주변의 따가운 시선은 애써 무시하면서 자기들끼리 위로하고 의지하며 생활하는 곳이다. 어머니와 자신을 버린 게이 아버지를 혐오하지만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그 곳에서 일을 한다. 처음에는 그곳에서 생활하는 게이 할아버지들에게 거부감을 보이기도 하지만 그들과 차츰 생활하면서 그들에게 적응해 간다.
사랑이라는 행위에는 정해진 형태나 모습은 없는 것 같다. 연인간의 사랑이나 부모, 자식간의 사랑이나 말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동성간의 사랑이라는 것에는 거부감을 나타낸다. 하지만 그들의 사랑도 단지 사랑의 또 다른 모습일지도 모른다. 뭐, 동성애자는 아니지만서도 흔히 말하는 그 느낌이란 것이 서로간에 생긴다면, 그래서 행복할 수 있다면 그다지 나쁘다곤 생각 안 든다.
그러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서도 정작 하기 어려운 것이 보이는 그대로 믿는게 다는 아니란 것이다. 늘 알면서도 막상 자신에게나, 혹은 가까운 주변에 믿지 못할 일이 생기면 거부감이 들기 마련이다. 동성애도 그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냥 모두 단지 사랑이라는 이름의 행위를 하는 것 뿐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어떤 사람들은 그들을 우리와는 마치 다른 생물 보듯이 한다. 그들도 원하는 것도 있고, 행복하고 싶은 욕망도 있고, 그런 인간인데 말이다.
그냥 단지 동성애자들의 이야기로 치기엔 너무 아까운 것 같다. 넓게 봐서 사랑에 관한 이야기 중에 하나라고 생각하자. '조제...'를 보고 느꼈듯이 말이다.
갠적으로는 '조제...'가 더 호감이 가는 영화 같다. 이 영화도 그다지 나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흐름을 이끄는 유머스러운 상황은 자칫 이들의 모습이 가벼운 것으로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게 아닐까하는 걱정도 한다. 분명 생각할 여지가 많은 주제인데 말이다. 물론 굳이 무겁게 이끌어 나갈 필요는 없지만서도 '조제...'처럼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의 전달이 아쉬웠을 뿐이다.
그래도, 루비는 가장 맘에 드는 캐릭터였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