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보기/'91~'00

레퀴엠 (Requiem For A Dream, 2000)

손쉽게 각자의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여러 약에 중독되어 파국에 치닺는 과정을 그린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영화이다. 화면 분할과 상당히 빠른 화면 전개 등의 감각적인 영상이 인상적이다.

약물 중독에 걸린 비참한 인생들과 거기에 어울리는 감각적인 화면 편집 등 여러모로 대니 보일 감독의 트레인스포팅 (Trainspotting, 1996)과 비슷하다. 하지만 트레인스포팅이 희망을 노래한 반면 이 영화는 주인공들의 파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영화는 해리가 어머니인 사라의 TV를 파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할일없이 시간을 죽이고 있는 해리는 어머니의 TV를 팔아 약을 살 돈을 구한다. 그런 아들을 무척 사랑하는 사라는 아들에게 아무런 말도 못하고 다시 그 TV를 사오곤 한다. 사라는 하루 종일 TV쇼만 볼 뿐이다. 그러다가 어느날 TV쇼의 게스트로 당첨되었다는 전화를 받고 설레인다. 남편이 죽고 아들마저 집을 나가버리고 오직 혼자 뿐이라는 생각에 외롭던 사라는 자신이 즐겨보는 TV쇼에 나가 자신을 알리고 주목 받기를 원한다. 그래서 그녀는 해리가 고등학교졸업식 때 입었던 빨간 드레스를 입고 나갈 생각에 들뜬다. 하지만 그때보다 엄청나게 살이 찐 그녀는 빨간 드레스가 맞지 않아 다이어트를 하지만 실패하고 결국은 무허가 의사에게 약을 받아 다이어트를 시작한다. 하지만 점점 약에 중독되고 헛것이 보이는 등의 중독 증세를 보이게 된다.

해리는 여자친구인 마리온과 흑인 친구 타이론과 마약에 찌들려 살아가고 있다. 큰돈을 벌기 위해 타이론과 함께 마약 딜러로 나서 돈을 모으게 되지만 심한 중독자가 되고, 거래 중 경찰에게 잡힌 타이론을 빼내기 위해 그동안 벌어둔 돈을 보석금으로 날리게 된다. 약을 사기 위해 돈이 필요한 그들은 결국 마리온이 자신의 몸을 팔게 되고, 마약을 구하기 위해 플로리다로 가는 도중 약의 부작용으로 해리는 팔을 잃게 되고 타이론은 경찰에 잡히게 된다.

냉장고가 자신에게 덤벼들고 TV 속 인물들이 나오는 등의 환각증세를 보이던 사라는 방송국을 찾아갔다가 경찰에게 붙잡혀 시설에 보내지게 되고 약이 필요하게된 마리온은 결국 거물 딜러의 꼬임에 의해 섹스 파티에 가는 등의 행동으로 약을 구하며 생활한다.

출연 배우들의 연기도 훌륭하고 화면 기법도 독특하다. 특히 사라역을 연기한 엘렌 버스틴의 약에 중독되어가는 과정을 실감나게 보여주는 연기나 약을 만들어 복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빠른 전개로 보여주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 영화 보기/'91~'00

해피 엔드 (Happy End, 1999)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 유부녀의 불륜과, 그로 인한 비극을 그린 정지우감독의 1999년도 작품. 전도연과 최민식이 부부로 나오며 주진모가 전도연과 불륜관계를 가지는 옛 애인으로 나온다.

보라(전도연)는 성공한 커리어우먼으로써 실직한 남편 민기(최민식)과 5개월된 딸 서연이 있다. 민기는 성공한 아내 덕분에 실직한 후에도 자신의 취미를 즐긴다거나 자연스레 생활에 적응해 간다. 물론 조금 날카로워진 아내가 자신의 실직 탓이라는 생각에 직장을 찾아보긴 한다.

영화의 시작은 많이 화제가 되었던 보라와 일범(주진모)의 베드신으로 시작된다. 보라는 헤어졌던 옛 애인 일범과 민기 몰래 만나고 있다. 보라는 성실한 남편과 딸이 있는 가정을 싫어하는건 아니지만 아직도 애틋한 마음으로 다가오는 일범과의 만남 역시 싫어하지 않는다.

이러한 관계가 계속 지속되다가 민기가 보라와 일범의 관계를 알게 되고 배심감에 휩싸인 민기는 결국 보라를 죽이고 이를 일범에게 뒤집어 씌우게 된다.

전에 단지 베드신에 대한 호기심으로 그냥 본 적이 있었는데 지금보니 그때와는 다른 느낌이다. 영화와 드라마에서 다뤄지는 불륜이야기들이 실제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없다고 본다면 상당히 끔찍해 진다.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하는 생각도 든다. 물론 그냥 그렇게 살아가는 거라고 생각하면 되겠지만 그래도 뭔가 아니라는 생각도 들기 마찬가지다.

그냥 그런 일들이 나에게는 일어나지 말라고 비는 수 밖에 없는거 같다. 나에게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으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
:: 영화 보기/'91~'00

안개 속의 풍경 (Landscape In The Mist, Topio Stin Omichli, 1988)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오 앙겔로플로스감독의 1988년도 작품이다. 볼라와 알렉산더 두 남매가 독일에 있는 아버지를 만나러 가는 여정을 그린 영화. 제 45회 베니스영화제 은사자상을 수상했다.

솔직히, 영화는 상당히 늘어지는 느낌에다 무미건조한 화면, 그리고 한편의 시를 보는 듯한..

볼라와 알렉산더는 얼굴도 모르는 아버지가 독일에서 살고 있다는 어머니의 거짓말을 믿고 몇번이나 기차역을 서성이다가 독일로 떠나는 기차에 무임승차하게 된다. 얼마 가지도 못하고 승무원에게 무임승차가 발각되어 경찰에 넘겨지고, 삼촌을 만나러 가는 중이였다는 거짓말을 하여 삼촌에게로 보내진다. 그러나 삼촌은 애들의 어머니가 얼굴도 모르는 남자의 애를 낳았다고 하여 더이상은 이들에게 관여하길 꺼려한다. 경찰서에서 도망쳐 나온 이들 남매는 독일로 가면서 여러사람들을 만나며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어렴풋이 알아가게 된다. 오레스테스같이 친절한 사람들도 있지만, 자본주의의 단면을 보여주는 식당주인이나, 어린 볼라를 강간하는 트럭운전사나...이런 사람들을 만나면서 이들 남매가 배우는 것은 세상의 차갑고 낯선 눈길 뿐이다. 우여곡절 끝에 국경에 다다른 남매는 그동안 겪었던 어려움보다도 더 클지 모를 두려움을 느끼면서도 안개가 자욱한 언덕에 있는 나무를 향해 발걸음을 옮긴다.

영화를 보면서 남매들이 만나는 여러 사람들을 보며 '혹 저 사람은 이런 사람이 아닐까?'하는 것들이 대부분 맞았다. 그러면서 남매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고 조금은 씁쓸했다. 나 역시 사람들을 의심하고, 게다가 그 의심한 것들이 맞아떨어지니 뭔가 잘못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영화에서 남매들이 겪는 일들이 어린 애들이 겪기에는 버거울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것이 살아가는거 아닌가하는 생각도 들었다. 트럭운전사에게 강간을 당하고 흐르는 피를 손으로 만져 덤덤히 바라보거나, 모자란 돈을 벌기위해 몸을 팔려고 하는 것이나, 굳이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그저 바라보는 것뿐 누구나 어쩔 수는 없는 일들이 아닌가..

영화는 곳곳에 상징적인 화면이나 몽환적인 느낌을 주기도 한다. 어렵다고도 할 수 있지만 굳이 의미를 따지기 보다는 그냥 바라보는게 이해하기 더 쉽지 않을까 한다.

이런 영화는 보는 내내 '왜 '라는 의문이 든다. 왜 저 애들이 어려움을 겪어야 하는가, 왜 저런 상황에 처해야 하는가, 왜 진정으로 도움을 주는 사람은 없는가 하는 등의 의문들 말이다. 그러면서도 그저 덤덤히 바라보는 것은 역시 누구나가 가지고 있는 이중적인 모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이버 영화평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1640

 

 

 

,